안녕하세요. 카늬발입니다.
오늘은 기초노령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노령연금은 보건복지부에서 관리하며, 만 65세 이상이며 소득 인정액이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는 금액 이하인 어르신들에게 지원됩니다. 그럼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과 신청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만 65세 이상, 소득 인정액이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는 금액 이하인 어르신들 단, 직역연금 수급권자와 그 배우자는 제외되지만, 특례 대상과 예외 대상에 해당하는 경우는 수급권자에 포함됩니다.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선정 기준
단독가구 : 월 2,020,000만 원 이하
부부가구 : 월 3,232,000만 원 이하
기초노령연금 신청은 만 65세가 되는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가능합니다.
기초노령연금 수급자에게 지급되는 기준 연금액
기준 연금액
10%, 32,318원 (최저 연금액)
50% : 161,590원 (부가 연금액)
100% : 323,180원 (기준 연금액)
150% : 484,770원
200% : 646,360원
250% : 807,950원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중 기준 연금액을 기초연금액으로 지급하는 대상과 감액 대상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중 기준 연금액을 기초연급액으로 지급하는 대상
●공적연금(국민연금, 직역연금, 연계연금) 수급권이 없는 사람(무연 금지)
●국민연금법에 따른 장애 연금, 유족연금 수급권자
●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연계 노령 유족(퇴직 유족) 연금수급권자
● 장애인연금 수급권자
● 국민 기초 생활 수급권자
국민연금 급여액 등이 기준 연금액의 150% 이하인 자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감액 대상
기초노령연금 수급자와 비수급자 간의 형평성 제고를 위해 감액을 적용합니다.
부부 감액은 본인과 그 배우자가 모두 기초연금 수급권자인 경우에는 각각의 기초연금액에서 기초연금액의 20%를 감액합니다. 소득 역전 방지 감액은 소득 인정액과 기초연금액(부부 2인 수급가구는 부부 감액 적용 이후)을 합산한 금액이 선정 기준액 이상인 경우에는 선정 기준액을 초과하는 금액의 범위에서 기초연금액의 일부를 감액합니다.
기초노령연금 신청방법
신청 방법은 직접신청과 온라인 신청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전국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직접 방문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 서비스 신청을 통한 온라인 신청.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 초일부터 신청접수 가능
전화문의
국민연금 공단 Tel. 1355
보건복지부 콜센터 Tel. 129
노령연금 각종 신청 양식 / 기초노령연금 사업안내 파일

마치며
기초노령연금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노인 복지 제도 중 하나로, 65세 이상의 노인들이 최저 생활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제도는 노인들이 생활비를 마련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가가 일정한 금액을 지원하여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해 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노인 복지 제도만큼이나 젊은 세대들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서민들의 불만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국 도시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부모님 세대의 생활 안정도 위협받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들은 부모님의 노후 생활을 위해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에 대해 알아보고,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들이 부모님들을 위해 이를 도와주면, 부모님들은 더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신청 방법은 각 지자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지자체의 행정 사무실이나 노인 복지 센터를 방문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부모님들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에 대해 자녀들이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부모님들 건강하게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아가시길 바랍니다~^^
'정부지원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저품질과 최적화 풀림 해결 방법 / 확인하는 법 (27) | 2023.05.23 |
---|---|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신청방법 / 대상 / 서류 2023년 가이드 (33) | 2023.05.22 |
전세 재계약 복비 / 전세 재계약 갱신청구권 2023년 (8) | 2023.05.21 |
상속세 증여세 면제한도와 신고방법 가이드 2023 (15) | 2023.05.19 |
전세 묵시적 갱신 중개수수료 / 중도 갱신 해지 2023 가이드 (33) | 2023.05.18 |
전월세 신고제 신고방법 / 시행 내용 / 과태료 2023년 가이드 (21) | 2023.05.16 |
2023년 근로장려금 지급일 지급액 (신청기간 / 신청 조회 방법) 알아보기 (0) | 2023.05.03 |
청년 월세 한시 지원 대상조건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1) | 2023.04.30 |